참고 사이트 : http://en.wikipedia.org/wiki/Conway%27s_Game_of_Life 이 게임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2차원 격자로 형성된 무한평면에서 하나의 격자(cell)를 생명단위로 설정하고 주변 8개 셀들의 영향으로 살아남거나 소멸하거나 또는 탄생하는 규칙을 정해서 다음 세대로 전이되어가는 상태를 보여줍니다. 마치 세포들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모습을 보는 듯 하죠. 물론 이 프로그램에서는 무한평면이 아닙니다. 영국의 수학자인 John Horton Conway 박사가 1970년에 고안했다고 합니다. 룰은 4가지 입니다. * Any live cell with fewer than two live neighbours dies, as if caused by under-population. * Any live cell with two or three live neighbours lives on to the next generation. * Any live cell with more than three live neighbours dies, as if by overcrowding. * Any dead cell with exactly three live neighbours becomes a live cell, as if by reproduction. 1. 살아있는 셀 A의 주변 8개 셀 중에 2개 미만의 수(즉, 0 또는 1개)가 살아있을때 A셀은 죽어버립니다. 왜? 외로워서... 2. 살아있는 셀 A의 주변 8개 셀 중에 2개 또는 3개의 셀이 살아있을때 A셀은 살아남습니다. 3. 살아있는 셀 A의 주변 8개 셀 중에 4개 이상의 셀(4 ~ 8개)이 살아있을때 A셀의 죽어버립니다. 왜? 살기가 복잡해서... 4. 죽어있는 셀 A의 주변 8개 셀 중에 정확히 3개의 셀이 살아있을때 죽어있는 A셀이 살아납니다. 4...
댓글
댓글 쓰기